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성의 인물들 재조명 (영화 암살, 서울과 상하이의 캐릭터)

by dreamer791 2025. 7. 16.
반응형

영화 ‘암살’은 역사를 재현한 작품이기도 하지만 그것보다 인물 중심의 서사로 깊은 여운을 남긴 작품입니다. 특히 경성과 상하이라는 도시 배경 속에서 얽히고설킨 캐릭터들의 감정선은, 시대의 무게를 온몸으로 받아낸 인간 그 자체를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맥락보다는 그 안에서 살아 숨 쉬었던 인물들, 그리고 그들이 머물렀던 도시를 중심으로 영화 ‘암살’을 다시 들여다봅니다.

 

영화 암살 포스터

 

경성이라는 무대, 인물들의 선택과 무게

 

경성은  모든 선택이 질문으로 돌아오는 공간이었습니다. 안옥윤이 처음 등장했던 장면을 떠올려보면, 그 차가운 경성 골목길에서 그녀는 단지 ‘암살자’가 아니었습니다. 그녀의 얼굴은 누군가의 딸이자, 동지였고, 운명을 짊어진 채 무너질 수 없는 사람의 얼굴이었습니다.

염석진 역시 경성의 공기를 마시며 살아가는 또 다른 얼굴입니다. 그가 형사라는 직업 안에서 만들어낸 이중적인 삶은, 경성이란 도시가 사람을 어떻게 집어삼킬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경성은 분명 거리였지만, 동시에 감정이 조이고 터지는 심리의 무대였습니다. 이 도시는 냉정했고, 그래서 더더욱 인물들은 뜨거웠습니다.

상하이라는 도피처, 그러나 자유롭지 못한 마음

상하이는 영화 속 인물들에게 잠시 숨을 돌릴 수 있는 공간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잠깐’이라는 단어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허상이었습니다. 상하이는 도피처였지만, 동시에 망각과 두려움이 교차하는 장소였죠. 김원봉이 상하이에서 전해 듣는 이야기들, 안옥윤이 무기를 챙기며 준비하는 그 눈빛은 상하이가 결코 안전지대가 아님을 말해줍니다.

상하이의 거리는 화려했지만, 그 속의 인물들은 결코 마음을 놓지 못했습니다. 상하이는 오히려, 경성보다 더 내면의 두려움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거울 같았습니다. 그곳에서 인물들은 현실과 감정 사이에서 자주 흔들렸고, 그 불안은 그대로 관객의 마음까지 전해졌습니다. 도시는 공간이 아니라, 인물의 심리를 반영하는 ‘거대한 감정 덩어리’였습니다.

도시에 녹아든 인물들, 그리고 그들이 남긴 잔상

영화 ‘암살’의 가장 깊은 감동은, 그 인물들이 현실과 맞서면서도 인간적인 면모를 잃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안옥윤은 암살자였지만, 인간으로서의 두려움과 상실을 품고 있었습니다. 그녀가 마지막 총을 들 때, 그것은 단지 임무의 완수가 아니라 자신 안의 무언가와의 이별이었습니다.

염석진은 배신자였지만, 그에게도 이유는 있었습니다. 물론 그 이유가 정당화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를 단순히 악인으로만 볼 수 없는 건, 그 또한 경성과 상하이에서 만들어진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가 탁월한 이유는, 선과 악을 나누기보다 인물들의 삶을 들여다보게 만들었다는 데 있습니다.

도시는 인물을 만들고, 인물은 도시를 기억하게 합니다. 우리는 경성과 상하이를 통해 그 시대를 조금이나마 체감했고, 그 속에 녹아든 인물들을 통해 감정의 결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영화 ‘암살’은 단지 총성과 사건으로 기억되는 영화가 아닙니다. 도시의 공기, 거리의 소음, 그리고 인물들의 감정 하나하나가 만들어낸 인간 서사의 총체입니다. 경성과 상하이, 그 속에서 살아간 인물들은 지금도 우리의 마음속에서 생생히 숨 쉬고 있습니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묻습니다. 우리는, 그리고 나는 어떤 도시에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반응형